달러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 역사, 중요성 등에 대해 알아보자.
달러의 의미
달러는 현재 미국의 공식 화폐단위이면서 동시에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국제화폐로 통용되고 있다. 캐나다,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화폐단위로 쓰고 있다. "달러"라는 용어는 16세기 유럽에서 사용된 은화인 '탈러(Thaler)'에서 유래되었다. 오늘날 달러는 금이나 은과 같은 물리적 상품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며, 법정화폐로서 그 가치가 내재적 가치에서 파생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재화나 용역의 교환 수단 이외에 가치의 척도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달러는 미국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통화 준비금의 한 형태로 상징적인 의미를 갔는다.
역사
1. 달러의 기원 : 미국 달러는 식민시대 아메리카 대륙에서 통용되던 스페인 달러(탈러)에 뿌리를 두고 있다.
2. 은행의 역할 : 1913년 연방 준비은행이 창설되기 전에 민간 은행은 자체 통화를 발행했다. 이는 서로 간의 가치 불일치와 나라 간 무역을 하는데 어렵게 만들었다.
3. 달러의 시대 : 미국내 남북전쟁으로 인해 미국은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현재의 달러라고 알려지는 화폐를 발행하였으며, 이는 정부가 자체 화폐를 발행한 처음이다.
4. 금 본위제 : 1800년대 후반~1900년대 초반까지 미국 달러는 금으로 뒷받침되었으며, 이는 달러로 금으로 교환이 가능하였다. 금 본위제는 1930년 대공항 동안 폐기되었다.
5. 브레튼우즈 체제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달러는 브레튼우즈 체제 하에 세계 긴축통화가 되었으며 다른 나라들이 통화 준비금의 형태로 달러를 보유하고 이다는 것을 의미했다.
6. 금본위제의 종말 : 1971년 닉슨 대통령은 미국 달러의 금태환( 35달러로 1온스의 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차용증)을 금지하였다. 이것은 금 본위제의 종말을 의미했으며 달러의 가차기 물리적 상품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지금의 법적 통화 시스템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중요성
미국 달러는세계 통화 중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아래와 같은 요인에 의해 달러의 중요성을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1. 준비 통화로서의 역할 : 세계의 준비 통화로서, 이는 외국 중앙은행과 정부가 선택한 통화임을 의미한다. 특이 이 역할은 미국에 상당한 세계적 경제력을 부여하게 되었고 미국달러를 통해 다른 나라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게 되었다.
2. 나라간 국제 무역 : 석유 및 금 등 나라 간 많은 상품이 현재의 미국 달러로 계산 및 측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도 무역을 위해 미국 달러를 보유하게 되었다.
3. 금융 시장 : 금 또는 물질적 상품의 결제 대금 외에도 외환, 채권시장 등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도 달러는 주요 통화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달러 가치의 변동은 글로벌 금융 안정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외에도 강한 달러를 통해 미국은 해외 다른 나라에게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글로벌 준비 통화로서 지위와 국제 무역 및 금융 시장에서의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탈달러화
탈달러화는 국제 무역 및 금융에서 미국 달러 이외 다른 화폐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유럽 연합은 유로화를 만들어 유럽 국가 간 통화를 단일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중국 역시 우크라이나 전쟁, 미국과의 무역분쟁 등으로 인해 보다 더 자국의 통화(위안화)에 대한 역할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미국이 아닌 러시아, 중동 지역 나와의 무역거래 시 달러가 아닌 위안화의 전환을 시작하고 있다.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달러 이외의 외환을 보유함으로써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며, 달러 인상에 따른 자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려고 한다, 하지만 앞으로도 미국 달러의 위상이 낮아질 가능성은 낮다. 현재에도 많은 국가들이 외환 보유액으로 미국 달러가 60% 이상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총생산(GDP) 뜻 이해 지표 한계 전망 (0) | 2023.04.11 |
---|---|
금의 역사, 특성, 경제적 가치와 투자 가치 (0) | 2023.04.10 |
인플레이션 정의 원인 영향 스테그플레이션 (0) | 2023.04.07 |
채권의 이해 구성요소 종류 중요성 금리관계 (0) | 2023.04.07 |
금리의 이해 중요성 결정 종류 (0) | 2023.03.30 |
댓글